ES2016 이후 모던 JavaScript 완벽 가이드 한번에 끝내기커피 한 잔과 함께 코드를 짜다가 문득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없으신가요?'어라… 내 자바스크립트 코드, 너무 옛날 스타일 아닌가?' 하는 생각 말입니다.ECMAScript 6, 우리가 흔히 ES6라고 부르는 버전이 나온 게 벌써 2015년인데요.Promise, 클래스, 화살표 함수 같은 강력한 기능들이 대거 추가되면서 거의 10년간 정체되어 있던 JavaScript 생태계에 새로운 숨을 불어넣은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지금 당장 TypeScript 프로젝트의 tsconfig.json 파일을 열어보면 아마 높은 확률로 컴파일 타겟이 ES6나 ES2015로 되어 있을 거거든요.그만큼 ES6는 하나의 시대적 기준이 되었습니다.그런데 중요한 사..
nuqs 2.5.0 업데이트 완전 정리 타입 안전 URL 상태 관리의 다음 단계2024년 8월 22일, 타입 안전한 URL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nuqs'가 2.5.0을 공개했는데요.무려 일곱 번의 베타를 거치며 꽤 많은 변화가 쌓였고, 이번 릴리스는 기능과 성능, 에코시스템 호환성 세 축이 동시에 전진한 느낌이에요.핵심은 'Debounce 기반의 URL 업데이트 제어', 'Key Isolation을 통한 렌더링 최적화', 'Standard Schema로 열리는 타입 안전 밸리데이션 통로', 그리고 'TanStack Router 지원 실험'이거든요.이 글에서는 원문이 짚어준 포인트를 놓치지 않으면서, 실제 앱에 붙일 때 알아두면 좋은 설계 팁과 마이그레이션 포인트까지 곁들여보려 해요.무엇이 달라졌나 n..
Next.js는 어떻게 React Compiler를 돌리는가 SWC와 Babel의 현명한 공존React Compiler가 드디어 안정화 후보로 공개되면서 개발자 커뮤니티가 술렁였는데요.Next.js는 v15에서 이를 실험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고, 많은 분들이 바로 이런 질문을 던졌죠.Next.js는 SWC로 갈아탄 지 오래인데, Babel 플러그인인 React Compiler는 대체 어떻게 끼워 넣는 거예요.표면만 보면 모순처럼 보이지만, 속살을 보면 꽤 단정한 해법이 숨어있습니다.이번 글은 2025년 8월 22일 시점의 Next.js Canary 소스 코드를 기준으로, React Compiler가 Next.js에서 어떤 경로로 실행되는지 코드 레벨로 풀어보려는 거예요.결론부터 말하면 'SWC와 Babe..
ECMAScript 2025 최종 승인 무엇이 달라졌나?자바스크립트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다지난 6월 25일, Ecma 인터내셔널 총회에서 'ECMAScript 2025' 언어 명세가 최종 승인되었습니다.이는 자바스크립트의 새로운 버전이 공식적인 '표준'으로 확정되었음을 의미하며, 이제 곧 우리가 사용하는 브라우저와 Node.js 환경에 새로운 기능들이 속속 도입될 것이라는 신호탄입니다.매년 발전하는 자바스크립트의 변화를 따라가는 것은 때로 벅차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새로운 표준에 담긴 기능들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더 효율적이고 우아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열쇠입니다.이 글에서는 ECMAScript 2025에 새롭게 추가된 핵심 기능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기능들이 실제 개발 현장에서..
암호 해독 가이드 더 이상 두렵지 않은 자바스크립트 정규표현식우리 앞의 암호문, 정규표현식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은 많은 개발자에게 애증의 대상입니다.문자열 검색, 치환, 유효성 검사 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그 대가로 마치 고대의 암호문 같은 복잡하고 난해한 문법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한 줄의 정규표현식을 해독하기 위해 몇 시간을 끙끙 앓거나, 반대로 내가 작성한 코드를 몇 달 뒤에 스스로도 알아보지 못하는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입니다.하지만 정규표현식은 정말 '읽기 어려운 것'으로만 남아야 할까요.다행히도, 현대 자바스크립트는 정규표현식을 더 쉽고 명확하게 다룰 수 있는 여러 가지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마치 암호문 같았던 정규표현식을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한 타입스크립트 Map과 배열 다루기 고급 패턴 탐구타입스크립트의 배려, 때로는 오지랖이 될 때자바스크립트로 코드를 작성할 때 우리는 아주 자연스럽게 특정 패턴을 사용합니다.`Map` 객체에서는 `.has()`로 키의 존재를 먼저 확인한 뒤, `.get()`으로 안전하게 값을 가져옵니다.배열에서는 `.length`로 길이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에 접근하는 오류를 피합니다.이러한 방어적인 코딩 습관은 매우 합리적이고 안전해 보입니다.하지만 타입스크립트의 세계로 넘어오는 순간, 이 당연했던 패턴들은 종종 우리의 기대를 배신하고는 합니다.타입스크립트는 우리의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이미 안전하다고 확신하는 상황에서도 '값이 `undefined`일 수 있다'며 깐깐하게 경고를 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