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e에서 import.meta.env 타입 에러 해결하기! 5분이면 끝나는 완벽 가이드문제 상황비트(Vite)로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를 개발하던 중에 환경변수를 사용하려고 했는데요.갑자기 이런 에러 메시지가 떴습니다.// 예시 코드const apiUrl = import.meta.env.VITE_API_URL; ^ 에러: Property 'env' does not exist on type 'ImportMeta'.환경변수를 불러오려고 했을 뿐인데 타입스크립트가 'import.meta.env'를 인식하지 못하는 거죠.처음엔 당황했지만, 생각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타입 단언으로는 해결이 안 되더라고요구글링을 해보니 타입 단언(..
Object.entries에 as 쓰시는 분, 잠시만요TypeScript 프로젝트에서 객체를 다루다 보면 Object.keys, Object.values, Object.entries를 정말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요.키 목록을 가져오거나, 값 목록을 가져오거나, 혹은 둘 다 한 번에 가져올 때 아주 유용한 친구들입니다.그런데 Object.keys나 Object.entries를 썼을 때, TypeScript가 반환해 주는 키의 타입이 언제나 string으로 나오는 걸 보고 고개를 갸웃한 적 없으신가요?분명 우리 객체에는 'foo'나 'bar' 같은 아주 구체적인 키만 들어있는 게 확실하거든요.하지만 TypeScript는 이 사실을 모르는 척, 그냥 아주 넓은 의미의 string이라고만 알려주는 셈입니다.con..
nuqs 2.5.0 업데이트 완전 정리 타입 안전 URL 상태 관리의 다음 단계2024년 8월 22일, 타입 안전한 URL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nuqs'가 2.5.0을 공개했는데요.무려 일곱 번의 베타를 거치며 꽤 많은 변화가 쌓였고, 이번 릴리스는 기능과 성능, 에코시스템 호환성 세 축이 동시에 전진한 느낌이에요.핵심은 'Debounce 기반의 URL 업데이트 제어', 'Key Isolation을 통한 렌더링 최적화', 'Standard Schema로 열리는 타입 안전 밸리데이션 통로', 그리고 'TanStack Router 지원 실험'이거든요.이 글에서는 원문이 짚어준 포인트를 놓치지 않으면서, 실제 앱에 붙일 때 알아두면 좋은 설계 팁과 마이그레이션 포인트까지 곁들여보려 해요.무엇이 달라졌나 n..
더 안전한 타입스크립트 Map과 배열 다루기 고급 패턴 탐구타입스크립트의 배려, 때로는 오지랖이 될 때자바스크립트로 코드를 작성할 때 우리는 아주 자연스럽게 특정 패턴을 사용합니다.`Map` 객체에서는 `.has()`로 키의 존재를 먼저 확인한 뒤, `.get()`으로 안전하게 값을 가져옵니다.배열에서는 `.length`로 길이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에 접근하는 오류를 피합니다.이러한 방어적인 코딩 습관은 매우 합리적이고 안전해 보입니다.하지만 타입스크립트의 세계로 넘어오는 순간, 이 당연했던 패턴들은 종종 우리의 기대를 배신하고는 합니다.타입스크립트는 우리의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이미 안전하다고 확신하는 상황에서도 '값이 `undefined`일 수 있다'며 깐깐하게 경고를 보내..
자바스크립트의 배신 타입스크립트는 Iterator 이름 충돌을 어떻게 해결했나조용히 일어난 이름 전쟁ECMAScript 2025(자바스크립트의 공식 명칭) 명세에, 개발자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이터레이터 헬퍼 메서드(iterator helper methods)'를 품은 새로운 `Iterator` 클래스가 추가되었습니다.이는 `map`, `filter` 등 배열에서나 가능했던 편리한 기능들을 이제 모든 순회 가능한 객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하지만 이 기쁨도 잠시, 타입스크립트 진영에서는 조용한 비상이 걸렸습니다.새롭게 표준으로 들어온 `Iterator`라는 이름이, 이미 타입스크립트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던 기존의 `Iterator` 타입과 정면으로 충돌했기 때문입니..
TypeScript 컴파일러, Go 언어로 갈아탄다고요?! 속사정 한번 알아볼까요?최근에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와 도구를 Go (고) 언어로 새롭게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 혹시 들어보셨나요?이번 네이티브 버전으로 에디터 실행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고, 빌드 시간도 무려 10배나 단축될 거라고 하는데요.메모리 사용량까지 줄어든다고 하니 정말 기대되지 않으세요?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이 소식에 숨겨진 자세한 이야기를 한번 풀어볼까 합니다.코드 기반: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vs. 네이티브혼란을 막기 위해 몇 가지 용어를 먼저 정리하고 넘어갈게요.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코드 기반: 현재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의 코드 기반을 말합니다. 놀랍게도 TypeS..